SVN 관련 설명서 기본 | 사용법 | MB6 패치
공식 설명서 README | 비디오 안내

사용법

목차
  1. 일반 사용법
  2. 바로 가는 키들
  3. 매개 변수
  4. DOS 명령어
  5. 상태 저장 기능
  6. 메뉴
  7. 글라이드 에뮬레이션
  8. Direct3D
  9. Opengl-HQ

일반 사용법
압축을 풀고 dosbox.exe 실행 파일을 실행하시면 됩니다.

Main 메뉴→Quick Launch에 들어가서 실행할 프로그램을 선택하십시오. 다른 방법으로 DOSBox 창에 실행하려는 파일을 끌어서 놓으셔도 됩니다.

일부 DOS 게임들은 XMS/EMS 메모리 등을 별도로 설정해야 동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떠한 게임들은 CD-ROM 마운트를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게임을 정상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이 설정들을 메뉴나 명령 프롬프트를 통하여 미리 바꿀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보려면 공식 설명서의 11. 문제 해결 단락도 참고하여 주십시오.

자동 마운트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DOSBox 설정 구성 파일을 열고 automount=false로 설정해 주십시오.

도구:
Tools 디렉터리에는 다음과 같은 도구들이 들어 있습니다.

  • Run DOSBox configuration.bat : DOSBox 설정 구성 파일을 메모장으로 엽니다. DOSBox.Conf 파일이 없으면 새로운 설정 구성 파일을 자동으로 하나 만들어 줍니다.
  • Read manuals.bat : DOSBox 설명서를 읽는 유틸리티입니다.
  • Install movie codec.bat : zmbv 동영상 코덱을 설치하고 제거하는 프로그램입니다. DOSBox에서 캡처한 동영상을 편집하거나 감상할 때 이용하는 코덱입니다.
  • Run DOSBox without GUI.bat : GUI가 없는 상태로 DOSBox를 실행합니다.
  • Run DOSBox with WINDIB driver.bat : WINDIB 모드로 DOSBox를 실행합니다.
  • Run save states manager.bat : 상태 저장 파일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모든 사용자:

  • 오래된 버전의 DOSBox가 생성한 설정 구성 파일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 화면 출력을 너무 자주 바꾸면 DOSBox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 Hardware2x / 3x 스케일러는 output=surface와 동시에 동작하지 않습니다.
  • 프린터 에뮬레이션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디즈니(Disney)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printer=true, disney=false)
  • MT-32 (MUNT) 에뮬레이션을 사용할 경우 ROM 파일들이 필요합니다. DOSBox 상태 창을 확인하십시오.

Windows 98 / ME / 2000 사용자:

  • DOSBox를 시작할 수 없으면 output=ddraw로 설정하십시오.
  • 다른 방법으로는 dosbox.conf를 지우고 TOOLS 디렉터리에 있는 "Run DOSBox configuration.bat" 파일을 실행한 다음 2번을 선택해도 됩니다.

Windows Vista / 7 이상 사용자:

  • Program Files\DOSBox 또는 Program Files (x86)\DOSBox 디렉터리에 압축을 풀거나 덮어쓰지 마십시오.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파일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만 보안을 위하여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바로 가는 키들
하나 이상의 패치들은 다음의 단축키들을 제공합니다.

CPU 코어 관련 기능 (Gulikoza님)

  • Ctrl - 1 : Normal 코어로 설정
  • Ctrl - 2 : Full 코어로 설정
  • Ctrl - 3 : Dynamic 코어로 설정
  • Ctrl - 4 : Simple 코어로 설정
  • Ctrl - = : CPU 사이클 최대화

다음 카페 빌드만의 기능

  • Ctrl - Alt - F9 : 메뉴 모음 숨김 / 보임
  • Ctrl - Alt - F12 : 지속적인 터보 모드 사용/사용 안함

상태 저장 / 불러오기 기능 (ZenJu님)

  • Alt-F5 : 저장 기능
  • Alt-F6 : 이전 슬롯
  • Alt-F7 : 다음 슬롯
  • Alt-F9 : 불러오기 기능

다른 단축키들을 살펴보려면 공식 설명서를 읽어 보십시오.


매개 변수
하나 이상의 패치들은 다음의 매개 변수들을 제공합니다.

사용법
dosbox.exe [-nomenu] [-nogui] [-showcycles]

  • -nomenu
    시작하자마자 메뉴를 숨깁니다. Ctrl-Alt-F9 키를 눌러서 메뉴를 다시 불러올 수 있습니다.
  • -nogui
    GUI 자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중도에 메뉴를 다시 사용할 수도 없습니다.
  • -showcycles
    시작하자마자 CPU의 빠르기(사이클)와 초당 프레임(FPS) 값을 보여줍니다.

위의 옵션을 쉽게 쓰려면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어서 사용하십시오. 다른 매개 변수들을 보려면 공식 설명서를 읽어 보십시오.


DOS 명령어
아래의 추가 명령어들은 '내부 명령어의 더 많은 매개 변수 지원' 패치, FreeDOS, 그 밖에도 Moe와 h-a-l-9000님의 패치를 통하여 제공됩니다. 아래의 명령어들은 DOSBox의 비공식적인 부분입니다.

외부 프로그램

  • 50.COM, 28.COM : 도스 셸의 보기 모드를 변경합니다.
  • EDIT.COM : FreeDOS 편집기를 열어 줍니다.
  • APPEND.EXE : PATH 명령어와 비슷하게 특정 파일을 마치 현재의 디렉터리에서 실행한 것처럼 보이는 역할을 합니다.
  • XCOPY.EXE : COPY 명령어보다 더 고급적인 명령어
  • MOUSE.COM : 마우스를 켜고 끄는 프로그램 (/U 변수가 끄는 옵션, 메뉴에도 존재)
  • IMGMAKE.COM : 플로피 및 하드 디스크 이미지 파일(.img)을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 (h-a-l-9000님) 더 자세한 사용법은 매개 변수 없이 IMGMAKE를 실행하시면 볼 수 있습니다.
  • MOVE.COM :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다른 곳으로 이동합니다.
  • TREE.EXE : 드라이브나 경로의 디렉터리 구조를 그래픽으로 보여 줍니다.
  • DOSIDLE.EXE : DOS용 CPU 유휴화 프로그램입니다.
  • DOS32A.EXE, DOS4GW.EXE : DOS 확장 프로그램입니다.

내부 명령어

  • ADDKEY : 인공적인 키 눌림을 만들어 주는 명령어입니다. (Moe님, ADDKEY [키])
  • VOL : 볼륨 레이블을 보여 줍니다.
  • LABEL : 볼륨 레이블을 설정합니다.
  • MORE : 지정된 파일 이름 안에 들어 있는 글자들을 보여줄 때 한 화면마다 끊어서 보여줍니다. (MORE [드라이브:][경로]파일이름)
  • PROMPT : 프롬프트(Z:\> 등)의 표시를 원하는대로 바꾸거나 원래대로 바꿔줍니다. 이스케이프 코드를 포함한 대부분의 특수 코드를 지원합니다. 기본값은 PROMPT $P$G입니다.
  • TIME : 시간을 보여 주거나 호스트 운영 체제와 동기화합니다. (h-a-l-9000님)
  • DATE : 날짜를 보여 주거나 호스트 운영 체제와 동기화하거나 직접 설정합니다. (h-a-l-9000님)

CONFIG.SYS 명령어

  • LASTDRIV.COM
  • FILES.COM
  • FCBS.COM
  • DEVICE.COM
  • BUFFERS.COM

아래의 명령어는 도스박스 정식 버전에서도 제공하는 것들이지만 약간의 변경 사항이 있습니다.

  • INTRO 명령은 도스박스 소개 화면을 나타내 주는 명령어이며 방향키로 항목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 DIR 명령은 볼륨 레이블과 일련 번호까지 보여 줍니다.
  • MEM 명령어에 /C, /P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OS 명령어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보려면, 프롬프트에서 HELP라고 입력하십시오. HELP /ALL이라고 입력하면 모든 명령어에 대한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상태 저장 기능

메모리로의 상태 저장 기능은 ZenJu님께서 제공해 주셨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보려면 여기로 들어가 보십시오: http://vogons.zetafleet.com/viewtopic.php?t=25274.
상태를 저장하고 불러오거나 삭제하는 기능은 Main 메뉴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태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키를 보려면 위의 "바로 가는 키들" 단락을 읽어 보십시오.

저장된 슬롯의 목록을 나열하고 삭제하려면 Tools 디렉터리에 있는 Run save states manager.bat 파일을 실행하십시오.


메뉴

도스박스 다음 카페에서 제공하는 SVN 빌드를 사용하시면 메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Windows에서만 이용할 수 있지만 다른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현재 작업 중에 있습니다.

  • Main : 기본 기능
  • Cpu : 중앙 처리 장치
  • Display : 화면
  • Sound : 소리
  • DOS : 디스크 운영 체제
  • Capture : 화면, 소리 캡처
  • Drives : 드라이브

위의 메뉴를 통해 도스박스의 설정을 쉽게 바꾸실 수도 있습니다. 다음 카페만의 기능이므로 도스박스 개발자들에게 지원받을 수는 없습니다.

메뉴 한글 패치는 도스박스 다음 카페에서 제공하며 한글 패치를 적용하면 "기본, CPU, 디스플레이, 소리, DOS, 캡처, 드라이브"와 같은 항목들로 바뀝니다.

실린더, 헤드, 섹터 구성 등의 크기와 같은 다양한 설정을 사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마운트하려면 IMGMOUNT 명령어를 대신 사용해 주십시오. (-size 변수는 시동 가능한 하드 디스크 이미지에만 적용됩니다.)


글라이드 에뮬레이션

주의!
글라이드 게임을 사용하기 앞서 게임 디렉터리에 반드시 glide2x.ovl 및 glide2x.dll 파일이 없도록 하십시오.

현재 글라이드 제공 방식에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 글라이드 래퍼 방식 (glide=true)
    글라이드 기능은 Gulikoza님이 관리하고 계시며 OpenGlide를 사용합니다.
    DOSBox 설정 구성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고 glide=true로 설정하여 글라이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글라이드 게임을 전체 화면으로 즐기는 방법:
    1. Alt-Enter 키를 눌러서 미리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십시오. (또는 설정 구성 파일에서 fullscreen=true로 설정)
    2. 이제 게임을 즐기시면 됩니다.

    전체 화면에서 메뉴 모음이 떠 있으면 Ctrl-Alt-F9키를 눌러서 보이지 않게 하면 됩니다.

    다른 글라이드 래퍼를 이용하는 데 문제가 있으면 다음의 지시를 따르십시오.
    1. glide2x.ovl 파일은 다른 것으로 교체하지도, 건들지도 마십시오. 오직 glide2x.dll 파일만 바꾸시기 바랍니다.
    2. Alt-Enter 키를 눌러서 미리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십시오. (또는 설정 구성 파일에서 fullscreen=true로 설정)
    3. 글라이드 게임을 실행한 다음 게임을 즐기시면 됩니다.

    그래도 문제가 있다면 TOOLS 디렉터리에 있는 "Run DOSBox without GUI.bat"를 실행한 다음 다시 시도해 보십시오.
  • 3dfx 글라이드 자체 에뮬레이션 방식 (glide=emu)
    kekko님이 이 패치에 관하여 밝히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타이틀 게임과의 더 높은 호환성 (.ovl 통합)
    - 다른 곳으로의 포팅 가능
    - DOSBox 내부 렌더러와의 통합: 전체 화면, 다른 출력 모드, 비디오 캡처 지원
    - 외부 라이브러리 필요 없음
    - Win9x 게임에 대한 D3D 지원

    글라이드 게임을 자체 에뮬레이션 방식으로 즐기는 방법:
    DOSBox 설정 파일에서 glide=emu로 설정하면 glide2x_emu.ovl을 사용합니다. (속도가 느립니다!)
    (glide=true로 설정하면 전과 같이 글라이드 래퍼로 glide2x.dll 및 glide2x.ovl을 사용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보려면 여기에 들어가십시오: http://vogons.zetafleet.com/viewtopic.php?t=25606
    다만 그곳에 빌드하는 방법이나 속도 문제에 대해서는 보고하지 마십시오.

Direct3D

글쓴이 : gulikoza님
옮긴이 : 도스박스 다음 카페

새로운 옵션들 :
Direct3D 출력을 가지고 그림을 스케일할 때에 이제 쓰고 싶은 픽셀 셰이더 효과를 고를 수 있습니다.

갖추어야 할 것들 :
픽셀 셰이더 2.0 지원 (Radeon 9500 이상, GeForce FX5200 이상)
픽셀 셰이더 1.4 지원 (scale2x_ps14.fx : Radeon 8500 이상)

** 아래에 나열된 그림자 효과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1) 일반

  • point.fx - 가장 가깝게 느껴지는 보통 크기
  • bilinear.fx - 쌍방향 크기 (조금 번짐)
  • scale2x.fx - 고급 MAME 2배 크기
  • scale2x_ps14.fx - 고급 MAME 2배 크기 (픽셀 셰이더 1.4 기반)
  • 2xSaI.fx - 2xSaI 크기 조절
  • 2xSaI_sRGB.fx - 2xSai (감마 수정) 크기

2) OGL2 PSX 플러그인에 맞춘 GLSL 그림자 효과에서 수정된 것들은 모두 아래와 같습니다. guest(r)님이 .fx 형식으로 바꿔 주셨습니다. 아래의 효과들 가운데 몇몇은 .fx 파일을 편집하여 설정을 바꾸실 수 있습니다.

  • GS2x.fx
  • GS4x.fx
  • GS4xColorFilter.fx
  • GS4xFilter.fx
  • GS4xScale.fx

3) 그 밖의 다른 그림자 효과들...

** 사용법
1. DOSBox.Conf를 메모장으로 엽니다.
2. 'output=direct3d'로 설정합니다. 그 뒤 다음 중 하나의 지시를 따르시기 바랍니다.

  1. 'scaler=hardware2x' 또는 'scaler=hardware3x'로 설정합니다.
  2. 'scaler=none'로 설정합니다. 해상도(fullresolution 또는 windowresolution) 쪽에도 값을 따로 넣으십시오.

3. 'pixelshader=' 뒤에 쓰고 싶은 그림자 효과를 골라 넣으십시오.

픽셀 셰이더가 동작할 때 DOSBox 콘솔에 다음의 문자열이 뜹니다: D3D:Pixel shader output enabled
이 줄이 없으면 효과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OpenGL-HQ

글쓴이 : Moe님
옮긴이 : 도스박스 다음 카페

OpenglHQ 사용시 문제가 있다면 fulldouble=true로 설정하십시오.

2006년 12월 15일자에 쓰인 글입니다. 아래의 주소에서 새로운 버전을 받거나 예제 그림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garni.ch/dosbox/

OpenGL-HQ는 그래픽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비디오 드라이버입니다. 사용자가 쓰고자 하는 크기에 맞춰 출력을 스케일합니다. DOSBox, ScummVM, Exult와 같은 2D 게임/에뮬레이터에 해당합니다.

알립니다:
이것은 베타 소프트웨어입니다. 걸림돌 없이 잘 돌아간다면 무슨 버그가 있을지 여러 번 테스트할 것을 당부 드립니다.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것이 있다면, 먼저 새로운 버전을 찾아 보십시오. 이 문서 안에서 적혀 있지 않은 어떠한 문제와 마주치셨다면 제게 전자우편을 보내 주십시오.

기능:

  • 빠른 스케일링을 위한 하드웨어 가속
  • 2D SDL 프로그램의 스케일링
  • 알맹이처럼 보이는 것들까지도 스케일링
  • 응용 프로그램이 OpenGL을 사용할 때 원래의 드라이버로 되돌리기
  • 이식할 수 있음
  • SDL과 함께 구성할 수 있음
  • 위의 URL에서 스크린샷을 꼭 한 번 보십시오

갖춰야 할 것들 :
- Radeon 9600, GeForce 7500 이상 및 최신 드라이버(OpenGL 확장 ARB_fragment_program과 하드웨어 가속은 반드시 지원되어야 합니다)
- SDL의 틀 안에서 사용자의 운영체제에 맞는 OpenGL 지원 (Windows, Linux/X11, 그리고 MacOS X)
- 빠른 CPU (OpenGL-HQ은 CPU를 보통 원래의 OpenGL 쌍방향 스케일링 보다 10% 이상 사용합니다)

제한:
- 높은 해상도의 출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드라이버 설정을 고품질로 맞추어 두셨다면 오히려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Radeon 9600-9800 계열의 칩들은 제한이 있습니다)
- MacOSX에서는 테스트되지 않았습니다 (분명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바탕 화면 해상도가 올바르게 자동 감지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때에는 SDL_OPENGLHQ_FULLRS를 사용하십시오.

고쳐질 가능성이 없거나 까닭을 알 수 없는 버그 :
- Windows의 ATI 드라이버들은 16비트 색에서 올바르지 않은 pbuffer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면, 색을 32비트로 바꾸어 보십시오
-- 지금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확인 바람.
- ATI의 3중 버퍼링 기능은 몇몇 응용 프로그램들과 충돌을 일으킵니다. 이와 비슷한 일이 일어나면 아래에 보이는 SDL_OPENGLHQ_DOUBLEBUF 설정을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용하고 있는 드라이버에 맞추어 확인해야 하겠음)

고쳐야 할 버그: 이제까지 알려진 버그는 없습니다.

또 다른 문제들을 보신 적이 있다면 아래의 [문제 해결] 구문을 찾아 보십시오. 여러분의 문제가 문제 해결 구문에 없다면 되도록 자세하게 글을 써서 제게 보내 주십시오 :
1) 어떠한 작업을 하였으며
2)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지 예측했고
3) 대신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4) 문제의 스크린샷과 관련된 설정 파일(DOSBox라면 dosbox.conf)

사용 방법 (빠른 발걸음):
Windows에서의 빠른 발걸음입니다. 다른 운영체제에서는 그에 맞게 따로 수정해야 합니다.

1) SDL.DLL을 응용 프로그램의 디렉터리에 복사하십시오. 덮어쓰기를 묻는다면 덮어 씌우십시오.
2) 다음의 줄이 들어간 일괄 파일을 하나 만드십시오. (메모장을 열고)

set SDL_VIDEODRIVER=openglhq
set SDL_OPENGLHQ_WINRES=800x600
<응용 프로그램의 이름>.exe

3) 파일 이름은 "<응용 프로그램의 이름>.bat"로 지정하여 EXE 파일이 들어있는 같은 디렉터리에 저장하십시오.
4)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려면 배치 파일을 두 번 누르십시오. 일괄 파일을 사용하려면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거나 기존의 바로가기를 수정하십시오.

구성:
환경 변수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되도록 일괄(BAT) 파일에서 사용하십시오. (바로 앞의 구문을 읽어볼 것)

  • SDL_VIDEODRIVER - OpenGL-HQ를 사용합니다
  • SDL_OPENGLHQ_WINRES
  • SDL_OPENGLHQ_FULLRES - 창/전체 화면 크기를 "960x720"과 같은 해상도로 설정합니다. 960x720-16 안에서 비트 깊이를 추가합니다. 주기적으로 고정 스케일링 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 : 2.5)
    기본값 - 창: "1", 전체 화면 : 바탕 화면 해상도
  • SDL_OPENGLHQ_VIDEODRIVER - SDL 비디오 장치의 이름을 설정합니다 (SDL_VIDEODRIVER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
  • SDL_OPENGLHQ_DOUBLEBUF - 응용 프로그램에 강제로 이중 버퍼링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일부 응용 프로그램들과 드라이버와의 충돌을 해결하지만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SDL_OPENGLHQ_STATIC
  • SDL_OPENGLHQ_DYNAMIC - HQ를 계산하기 위한 매개변수가 두 개 있습니다. 기본 수치(static 10, dynamic 33)은 대부분의 경우 가장 좋습니다. 렌더링을 최적화하려면 이 값을 사용해 보십시오 : static 0-255, dynamic 0-100
  • SDL_OPENGLHQ_DATA - OpenGL-HQ를 위한 데이터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터리. 설정하지 마십시오

지정된 결과를 제대로 적용하려면 SDL_VIDEODRIVER를 설정해야 합니다. 창으로 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스케일하려면 SDL_OPENGLHQ_WINRES를 설정하십시오. 그 밖의 모든 것은 보통 필요하지 않으며 이 설정들은 자동으로 감지됩니다.

모든 SDL 응용 프로그램들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려면 아래의 과정을 따르십시오:
Windows: 제어판 →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 환경 변수
Unix 계열 운영 체제 : ~/.profile에 "export <환경 변수 이름>=<값>"를 추가

성능:
짧게 말하면: 정말 대단합니다. 하드웨어적으로 최소 요구사항을 거의 충족하지 않은 상태에서 DOSBox에서 frameskip 0과 scaler를 2x로 쓰며 보호 모드를 쓰는,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는 높은 해상도의 SVGA 프로그램을 돌리면 성능은 거의 20%까지 떨어집니다. frameskip을 4로 두면 성능차는 5-10% 정도가 됩니다.

VGA 해상도의 스케일을 4x까지 지정하면 차이는 더 줄어듭니다: frameskip 0에서는 성능이 12% 떨어집니다. 소프트웨어로 스케일링하면 더욱 나빠집니다: Normal2x는 20%, advmame2x는 25%, hq2x(최적화 되지 않은 HiEnd3d 버전)는 심지어 40%까지 떨어집니다.


문제 해결 :

1.
물음: 무언가가 동작하지 않거나 이상합니다.
풀이: 새로 나온 공식 비디오 드라이버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개인이나 단체가 수정한 드라이버에서는 잘 돌아가는지 알아보지 못했으며 오래된 드라이버에서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물음: DOSBox가 충돌을 일으킵니다.
풀이: DOSBox가 비디오를 띄우려고 할 때 오류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 문제가 수정될 때까지 하드웨어가 OpenGL-HQ를 지원하지 못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3.
물음: 전체 화면으로 바꾸면 DOSBox가 멈춰 버립니다
풀이: ATI 드라이버 문제입니다. dosbox.conf에서 "fulldouble=false"로 설정하거나 환경 변수에서 SDL_OPENGLHQ_DOUBLEBUF를 사용하십시오

4.
물음: 너무 느립니다!
풀이: 아마도 카탈리스트 제어판에서 '수직 동기화 대기'를 강제로 설정하고 응용 프로그램이 이중 버퍼링을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예 : DOSBox의 fulldouble=true) Radeon 9600-9800 계열의 칩에서 해상도를 높게 잡으면 버거울 수 있습니다. 이렇게 처음으로 완전히 프로그래밍을 거친 칩들은 제한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놀라지 마십시오.

5.
물음: 부분적으로는 돌아가지만 몇몇 비디오 모드는 이전과 같이 스케일되지 않고 그대로입니다.
물음: 보이는 것이 스크린샷에서 보던 것 보다 더 나쁩니다. 흐릿하고 깔끔한 데를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물음: 엥? 전 그대로 따라했는데 아무 것도 바뀐 게 없는데요?

풀이: 프로그램 안의 모든 소프트웨어 스케일링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많은 에뮬레이터들은 몇 가지 종류의 스케일링을 기본값으로 두지만 OpenglHQ는 x1 스케일링 (없음, scaler=none) 하고만 동작합니다.

6.
물음: 제 마우스가 느립니다! 어떻게 빠르게 할까요?
풀이: 얼마 안 되어서 거의 해결되었습니다. 그러나 마우스를 끌다 보면 비디오 드라이버가 가속 설정을 바꿀 수 있습니다. x11 드라이버를 쓰면 느려지므로 환경 변수를 써서 수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도움말을 보려면, http://vogons.zetafleet.com의 "DOSBox Patches" 포럼에 들어가서 OpenGL-HQ를 찾아보십시오. 이 코드는 DOSBox에만 맞춰져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Sam Lantinga님이나 SDL 팀에게는 OpenGL-HQ에 관하여 전자우편을 보내지 마십시오. 그들은 OpenGL-HQ와 어떠한 관계도 없습니다.

개발자 정보는 우리말로 뜻을 옮기지 않았습니다.


라이선스:
SDL - Simple DirectMedia Layer OpenGL-HQ scaling
Copyright (C) 2005 Jorg Walter <jwalt@garni.ch>

이 라이브러리는 자유 소프트웨어입니다.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이 공개한 GNU 라이브러리 공공 라이선스의 조항에 따라 다른 곳으로 배포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유용'을 목적으로 배포됩니다. 그러나 상업에 언급된, 또는 특정 목적에 타당하다고 여겨지는 어떠한 보상도 하지 않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GNU 라이브러리 공공 라이선스를 살펴 보십시오.

이 라이브러리에 관련된 일을 하려면 GNU 라이브러리 공공 라이선스의 사본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다음의 주소로 글을 써서 보내 주십시오.
Free Foundation, Inc., 59 Temple Place, Suite 330, Boston, MA 02111-1307 USA

SDL 패치는 바탕화면 해상도 자동 감지를 위해 2005년 1월자의 SDL 전자우편 목록에 있는 코드를 사용합니다.

고마움의 말씀 :
Windows 빌드를 제공하고 테스트하는 데 도움을 주신 VOGONS의 모든 분들께 고마운 말씀을 드립니다. EXT_framebuffer_object로 코드를 포팅해 주신 VOGONS 포럼의 gulikoza님께 더욱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바뀐 점 :
2006-12-15 마우스를 움직일 때 일어나는, 주로 전체 화면을 쓰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조그마한 버그 수정 API 호환성 개선, 쓸모 없는 픽셀 복사 줄임, MacOSX 지원
2006-11-22 ATI 카드의 16비트 비디오 문제 해결, 컴파일 시퀀스 개선, 렌더링 정확도를 높이고, 줄을 간결히 하여 더 빨라짐
2006-11-21 렌더링을 위해 EXT_framebuffer_object 확장 사용 : 스레딩 문제 고침, 성능 개선, SDL 1.2로 포팅, 64비트 clean make 처리

SVN 관련 설명서 기본 | 사용법 | MB6 패치
공식 설명서 README | 비디오 안내